언론보도 21

[인터뷰] 대선후보들, 기본소득 이야기 왜 하다 말았죠? with 닷페이스

닷페이스 .FACE와 함께한 따끈따끈한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기본소득에 대한 궁금증을 꼼꼼히 물어봐주셔서 저도 성실히 답했습니다. 기본소득을 왜 해야하는지부터 선별복지의 한계, 재원의 문제까지 쉽고 간결하게 말씀드렸습니다. 읽어보신다면 제가 이번 대선에서 기본소득에 올인하고 있는 이유, 쉽게 이해하실 수 있을 겁니다. 인터뷰에서 밝혔다시피 저는 '노동의 권리' 역시 '노동하지 않을 권리'가 보장되어야만 실현될 수 있다고 주장합니다. 일에서 벗어날 수 있다면, 혹은 일을 줄이고 내가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다면 어떨까요? 기본소득은 이런 상상을 실현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겁니다. 더 많은 시민들이 저와 함께 상상하기를 바랍니다. 더 나아가 상상을 현실로 옮길 수 있도록 함께 용기내주시길 청합니다. ..

언론보도 2022.03.07

[인터뷰]오준호 "月65만원 기본소득, 삶의 기본선… 누군가는 알려야 했다"

아이뉴스와 함께한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기자님의 소개글이 인상깊습니다. "대학 시절, 한 학기 두 차례 찾아오는 시험기간에도 아르바이트를 해야만 했던 친구가 있었다. 전 국민 월 65만원 기본소득을 공약한 오준호(46) 기본소득당 대선후보의 포스터를 볼 때면 문득 그 친구가 생각난다. 매월 그 정도의 돈이 주어졌다면 조금은 더 여유로운 일상을 보낼 수 있지 않았을까 하고 말이다" 모든 사회 구성원이 경제적 안정을 보장받는 사회, 누구나 한 번쯤 꿈꿔봤을 사회일 겁니다. 저 오준호는 그 사회를 현실로 만들고자 합니다. 역사상 가장 위대한 사회로,함께 나아갑시다. https://news.naver.com/main/read.naver?mode=LSD&mid=sec&sid1=100&oid=031&aid=00..

언론보도 2022.03.06

[인터뷰] 오준호 "달마다 65만원 기본소득" | 영등포역 유세 #TBS

https://youtu.be/MkIO-d7fvLQ TBS와의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이제 영상 인터뷰에 완벽 적응해버린 저의 모습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번 선거는 코로나 위기와 로봇이 우리 일자리를 대체하는 시대에 어떤 경우라도 내 삶을 든든하게 보장해주는 기본소득 같은 대안에 투표하는 선거입니다. 그 대안을 가진 젊은 정치, 대안 야당 기본소득당 오준호를 선택하는 선거입니다. 3월 9일 유권자의 삶을 위해 대한민국을 바꾸기 위해 저 기호 5번 오준호를 선택해 주십시오.

언론보도 2022.03.05

[인터뷰] 기호 5번 오준호 "목표는 3등...양당이 방치한 기본소득 되살리겠다"

20대 대통령 선거에 출마한 14명의 후보 가운데 국회 의석을 보유한 원내정당의 후보는 5명이다. 이들 가운데 이재명·윤석열·심상정·안철수 후보는 각각 기호 1번부터 4번을 배정 받고, 21일부터 열리는 법정 TV토론에도 초청을 받았다. 안 후보가 3일 단일화를 선언하면서 남은 원내정당 후보는 총 4명이 됐다. 원내정당 가운데 이 무대에 참여하지 못한 후보가 있다. 기본소득당의 오준호 후보(기호 5번)다. 오 후보는 월 65만원을 지급하겠다는 기본소득을 대표 공약으로 내세우고 있다. 지난 10년 동안 기본소득 관련 서적을 집필하고, 용혜인 기본소득당 의원의 비서관으로 기본소득법안을 작성한 베스트셀러 작가이자 정책전문가기도 하다. 오 후보를 지난달 말 서울 여의도동의 기본소득당 당사에서 만났다. 그는 "이..

언론보도 2022.03.03

뉴스타파와의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뉴스타파와의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대학시절 잘 알고 지냈던 심인보 기자님 그리고 김경래 기자님, 박상희 기자님과 시간가는 줄 모르고 이야기를 나눴습니다. 기사 읽으러 가기 https://n.news.naver.com/article/607/0000001014 뉴스타파는 그간 사회의 가려진 진실을 들추기 위해 힘써온 언론입니다. 이번 역시도 불공정한 대선판에서 소수정당 후보의 목소리를 비추기 위해 깊이있는 인터뷰를 진행해주셨습니다. 뉴스타파와 함께한 진솔한 정치 이야기, 꼭 읽어봐주시고 저 오준호를 '초이스' 해주십시오. 후원계좌 우리은행 1002-262-812813 안효상(오준호후원회) 후원금 입금후 문자 주시면 영수증발급을 도와드리겠습니다. (010-4889-3336) 후원금은 2021년 2022년 ..

언론보도 2022.02.25

[인터뷰] '기호 5번' 오준호 "'기본소득세상' 함께 합시다"

더팩트와 진행한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짧지 않은 인터뷰를 잘 정리해주신 기자님께 감사를 전합니다. 인터뷰 기사 보러가기 : https://readmore.do/7ZYd 댓글에 악플이 몇 개 달렸지만, 오히려 반갑습니다. 그래도 그 중 “돈 많아서 후보로 나오는 것 아님?” 이라는 댓글은 바로잡고 싶은데요. 안타깝게도 저는 4번 후보나 6번 후보처럼 돈이 남아도는 후보가 아닙니다. 저 오준호를 지지하는 당원과 지지자분들의 소중한 후원금으로 선거를 치러내고 있습니다. 그러나 아직 목표한 선거자금 10억을 모으지 못했습니다. 당원과 지지자 여러분의 뜨거운 후원이 필요합니다. 기본소득 대한민국의 비전이 구석구석 알려질 수 있도록, 소액이라도 보태주시면 큰 힘이 됩니다. 세상이 흔들려도 당신을 지킬 수 있도록..

언론보도 2022.02.21

뉴스에 없는 저마다의 이야기, EFG 뉴스레터와 단독 인터뷰를 했습니다

뉴스에 없는 저마다의 이야기, EFG 뉴스레터와 단독 인터뷰를 했습니다. 대통령 후보 중 저만 유일하게 인터뷰를 진행했는데요. 기본소득당과 EFG에는 공통점이 있습니다. 기성정치와 언론에서 주목하지 않는 목소리에 주목한다는 겁니다. EFG 브랜디님과 인터뷰를 하면서 깊이있는 질문에 감탄했던 기억이 납니다. 꼼꼼히 저의 공약과 메시지를 분석해주신 덕에 저도 열심히 인터뷰에 응했습니다. 잘 읽어봐 주시고 저의 역량과 공약을 직접 검증해주십시오. EFG 에서는 대선 후보의 공약을 다루는 시리즈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다른 후보의 공약과 함께 저의 공약도 철저히 검증될 예정입니다. 인터뷰도 읽어주시고, EFG 뉴스레터도 많이 구독해주세요! 인터뷰 1편 보러가기 (keyword 기본소득, 노동, 주거권, 성평등) ..

언론보도 2022.02.16

[미디어오늘] “대선후보 기탁금 똑같이 3억 냈는데 왜 토론회 보장 안하나”

4자토론이 열리던 어제 저녁, 오준호 후보가 여의도 KBS 앞에서 1인시위를 진행했습니다. 여러 차례 선관위와 방송 3사에 소수정당 후보도 알릴 기회를 공정하게 제공해 달라고 요구해왔습니다. 국민의 알 권리를 보장하라는 요구였지만 선관위와 언론은 이러한 책무를 외면하고 있습니다. 안철수 후보와 심상정 후보는 철야농성을 해가며 양자토론 개최에 반대했고 특히 심 후보는 ‘제2 위성정당 사태’란 표현까지 썼으나 두 후보는 자신들이 포함되는 순간 침묵했습니다. 똑같은 기탁금을 내고도 토론회 참여 기회조차 보장받지 못하는 소수정당에 대한 공정한 보도 기회와 토론 기회가 확보되어야 합니다. http://www.media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2125&fbclid=..

언론보도 2022.02.07

기본소득과 블록체인 탈중앙 정신은 잘 통해

암호화폐와 블록체인 전문 매체 '디센터'와 인터뷰했습니다. 디센터는 오준호가 후보들 가운데 "블록체인 기술과 암호화폐 산업에 대한 가장 높은 이해도를 바탕으로 새로운 논의를 하고 있다"고 썼습니다. 이재명, 윤석열 후보가 4대 암호화폐 거래소 대표들과 간담회를 열고 초대형 비트코인 포토월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었지만, 목적은 2030세대 투자자들의 표심이었다며, 저 오준호는 그 두 후보와 다르다고 평가했죠. "기본소득은 큰 정부를 지향해서 탈중앙 정신을 내세우는 블록체인과 잘 어울리지 않는 것 같은데?"라고 기자님이 물었습니다. 저는 기본소득과 블록체인의 탈중앙 정신은 "아주 잘 통한다"라고 대답했죠. 어떻게 잘 통할까요? 인터뷰 전문을 읽어봐주세요! 👉 디센터 인터뷰 전문 : https://decente..

언론보도 2022.01.30

오준호 기본소득당 대선후보 “'진짜' 기본소득으로 대한민국 대전환 이룰 것”

이로운넷과 함께한 인터뷰가 발행되었습니다. 감사하게도 홈페이지 메인으로 걸어주셨네요. 기본소득과 함께 사회적 경제 역시 다룰 수 있어 시간가는줄 모르고 임했던 인터뷰입니다. 인터뷰 한번씩 꼭 읽어주셔요🙏 🔎 인터뷰 읽으러가기 : https://readmore.do/zLjg Q. “기본소득과 사회적경제는 함께 가야할 동반자”라고 말한 바 있다. 사회적경제에 대해 알기 전부터, 공동육아협동조합에 참여해 함께 운영주체가 돼 경비를 부담하고, 운영의 세세한 것까지 결정했던 경험이 있다. 이웃과 공동체를 이루고 함께 협동하며 살아가는 활동에 큰 매력을 느꼈다. 다양한 형태의 협동조합이 늘었으면 한다. 하지만 적극적으로 참여하는데 임금소득의 압박으로 흔쾌히 참여하기 어려워 하는 경우도 있다. 만약 기본소득이 보장된..

언론보도 2022.01.30